이번 한 주에 200만 원 넘는 수익을 올렸습니다. 정말 기분 좋은 한 주였습니다. 그전주에 손실 나왔던 호주 달러 포지션을 그대로 들고 갔었는데 이번 한 주 기간 완전히 회복되는 바람에 내 계좌도 수익이 크게 날 수 있었습니다. 손절이 중요하고 잘해야 하지만 경험에서 보면 때로는 버티기 하는 게 맞을 때도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쇼크는 대부분 제자리로 돌아오는 거 같습니다.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원맨쇼로 국제 경제가 널뛰기하였는데 트레이딩 하는 사람 입장에서 보면 널뛰기 방향만 제대로 따라가면 변동성은 큰 수익 올릴 기회입니다. 우리 시간으로 수요일 낮부터 목요일 아침까지 변동성이 커졌을 때 나는 제대로 수익 올릴 수 있었습니다. 사실은 수익이라기보다 손실 부분이 원상회복되었던 것일 수 있습니다. 어제는 유로화가 크게 올랐는데 이 때는 처음에 매수매도 균형포지션이거나 때로는 반대 포지션 잡기도 해서 제대로 따라가지 못해 수익기회를 놓쳤습니다. 어제 달러대비 유로화는 저점 1.1230에서 고점 1.1518로 하루 중 300핍 가까이 움직였으니 마이크로 1 계좌 갖고도 360불 진폭이 있었던 셈입니다. 대단한 변동 장세였는데 반대 포지션이었으면 깡통계좌 만들기 쉬운 하루였습니다. 놓친 수익 아쉬워하지 말고 그래도 수익 나와주었다는 걸 감사해야 마음이 편해질 거 같습니다.
유로화 차트를 보면 주 초반에 횡보하다가 후반부에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 기울기만 믿고 따라가야 하는데 장중에는 그게 말처럼 쉽게 할 수 없습니다. 욕심내지 않는 게 안전한 길입니다.
첫 번째 차트는 유로화이고 두 번째 차트는 호주달러입니다. 호주달러는 더 드라마틱한 변동장세를 연출하였습니다. 지난주 금요일의 폭락은 이번 주 어제까지 대부분 원상 복귀하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한마디 한마디가 큰 영향 미쳤습니다. 호주달러 회복이유와 유로화 상승이유에 대해 AI Perplexity에게 물어보았습니다.
호주 달러(AUD) 회복 이유
- 미국 관세 정책의 조정:
-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관세 정책이 일부 국가(멕시코, 캐나다)에 대해 시행 연기를 결정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회복되었습니다.
- 이는 AUD와 같은 위험 통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기술적 반등:
- AUD/USD는 최근 과매도 상태에 진입했으며,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기술적 반등이 발생했습니다.
- 특히, AUD/USD 환율이 주요 지지선(0.6044)을 유지하며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 원자재 가격 안정화:
- 호주의 주요 수출품인 철광석 및 석탄 가격이 안정세를 보이며 호주 달러 가치 회복을 뒷받침했습니다.
유로화(EUR/USD) 상승 이유
- 미국 달러 약세:
- 미국 달러는 4월 11일 기준으로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습니다. 이는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 약화와 투자자들이 미국 자산을 대거 매도하며 발생한 현상입니다.
-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혼란은 투자자들이 미국 달러를 안전자산으로 간주하지 않게 만들었고, 이는 유로화를 포함한 주요 통화의 강세로 이어졌습니다.
- 유럽 경제 안정성:
- 유럽중앙은행(ECB)의 금리 정책 기대감이 유로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ECB는 금리를 동결하거나 점진적으로 조정할 가능성을 시사하며, 상대적으로 유럽 경제 안정성이 부각되었습니다.
- 투자 자금의 유럽 회귀:
- 미국 자산에서 빠져나간 자금이 유럽으로 이동하며 유로화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이는 "탈달러화(de-dollarization)" 현상과 관련이 있으며, 글로벌 투자자들이 유로화를 선호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미국 달러 급락 이유
- 관세 정책 혼란:
-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갑작스럽게 조정하거나 철회하는 등 일관성 없는 정책을 펼치면서 시장 신뢰를 흔들었습니다. 특히 중국에 대한 높은 관세(145%)는 글로벌 무역 긴장을 심화시키며 달러 약세를 초래했습니다.
- 이러한 정책 변화는 미국 경제의 불확실성을 키우며 투자자들이 달러 자산을 매도하게 만들었습니다.
- 미국 채권 시장 불안:
- 10년물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4.46%)했지만, 동시에 달러 가치가 하락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미국 채권과 달러 자산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매도세를 강화했기 때문입니다.
-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
-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관세 전쟁은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키웠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은 일본 엔, 스위스 프랑, 유로화 등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통화로 이동했습니다.
결론
- 유로화는 미국 달러 약세와 투자 자금의 유럽 회귀로 인해 강세를 보였으며, EUR/USD 환율은 1.1398까지 상승하며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 미국 달러는 관세 정책 혼란, 채권 시장 불안, 그리고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로 인해 급락했으며, 이는 탈달러화 현상을 가속화시켰습니다.
'투자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FX 외환 선물 거래 (25.4.19) (1) | 2025.04.19 |
---|---|
FX 외환 선물거래 (25.4.5) (2) | 2025.04.05 |
FX 외환 선물 거래 (25.3.29) (0) | 2025.03.29 |
FX 외환 선물 거래 (25.3.16) (0) | 2025.03.16 |
FX 외환 선물 거래 (25.3.8) (0) | 2025.03.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