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헬스케어 프로그램과 체지방률 (PBF)
지난달 판교 노인종합복지관 사이트를 검색하다가 눈에 띄는 공지 하나를 보았습니다. 스마트헬스케어 참여 희망자를 선착순 모집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참여대상은 안드로이드폰을 사용하고 스마트폰을 잘 활용할 수 있고 건강관리에 관심 있으며 1년 동안 전문가 도움을 받아 스스로 건강 관리해보고 싶은 사람이라고 해서 바로 나다 싶어 선뜻 신청했습니다. 조금 늦었지만 다행히 선착순 20명 안에 들어가 신청이 접수되었습니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신청자 전부 한자리에 모이지는 못하고 개별적으로 복지관을 방문해서 스마트 밴드를 대여받고 간단한 체력검사 및 건강관리 오리엔테이션을 받았습니다.
나는 그간 몇 년간 샤오미 밴드 2를 즐겨 사용해 왔는데 이번 복지관에서 대여하는 스마트 밴드는 인바디에서 나오는 제품이었습니다. 인바디는 헬스케어 기기 분야에서는 많이 알려진 업체인가 봅니다. 인바디 밴드가 샤오미 밴드보다 불편한 점도 있지만 인바디 밴드는 체지방률 등 체성분 검사 가능한 점이 좋은 것 같습니다. 다만 인바디 기기로 측정한 값과 인바디 밴드로 측정한 값에 많은 차이가 있어 신뢰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기도 합니다. 그런데 측정값이란 단순히 숫자일 뿐이어서 측정값보다는 내 신체 자체의 변화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면 별 문제 되지 않을 것입니다.
이번에 체성분 검사를 하면서 체지방과 체지방률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어 좀 더 알아보았습니다.
체지방률(PBF, Percentage Body Fat)이란 신체에서 체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뜻합니다. 평균적으로 남자의 체지방은 15~20%이며 여성은 20~25%라고 합니다. 체지방률이 높게 되면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다양한 질환에 노출될 수 있어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게 됩니다. 체지방률 측정방법은 3D 바디스캔, 수중 계체 법,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법 등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생체전기 임피던스 측정기 위에 올라서서 손잡이를 잡고 서 있으면 자동으로 측정되는데 기기에서 미세한 전류를 흘려보내 체내 체지방률을 분석한 결과라고 합니다.
인바디 체성분 검사기기를 이용해야 하지만 인바디 스마트 밴드로도 체지방률 측정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밴드 바닥의 손목 접촉부위와 밴드 상부 금속 부위에 다른 손가락을 접촉하면 양 손을 통해 온몸을 흐르는 측정값이 계산된다는 건데 믿기 어렵지만 그냥 믿는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체지방률 검사할 때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와 비교할 수 있습니다. 측정기기가 없으면 일반적으로 BMI 수치로 체지방률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입니다. BMI가 18.5 이상 23 미만이면 정상 체중입니다. 18.5 미만이면 저체중 상태이며 23 이상이면 과체중 상태로 볼 수 있습니다.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하게 되는데 25~30 구간은 경도, 35 까지는 중도, 35 이상이면 고도 비만으로 분류합니다.
BMI는 네이버의 표준체중 계산기로 쉽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 웹상에서 성별, 신장, 체중, 나이를 적어주면 나의 신체 질량지수(BMI)와 연령대에 따른 분포도를 알려줍니다. 평균 체중은 자기 키를 제곱하고 다시 22를 곱해서 나온 수치가 되는데 여자는 21을 곱해준다고 합니다. 나는 네이버 표준체중 계산기로 측정하니 상위 65%에 속해 체중을 한참 줄여야 하겠습니다. ㅠㅠ
우리나라 국가기술표준원의 '나의 체형 알아보기'에서도 측정해보실 수 있습니다.
'7학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복지관 노인재능 나눔활동 참여 : 또래 IT 멘토링 (2) | 2021.04.02 |
---|---|
추천하고 싶지 않은 디즈니 픽사 애니메이션 : 소울 (2) | 2021.03.27 |
거짓 와이로 이야기 (2) | 2021.03.23 |
3C 당구 - 공격 제한시간 지키기, 수구 색깔 기억하기 (5) | 2021.03.22 |
성남시민농원 실버 텃밭을 분양받았습니다. (2) | 2021.03.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