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학년 이야기

인바디 그래프 C형 비만형 탈출 전략

by 77 Harvey 2021. 6. 8.

 

인바디 그래프 C형 비만형 탈출 전략

 

판교 복지관의 스마트헬스케어 프로그램 참여 계기로 인바디 체성분 검사체지방에 대해 뭐 좀 알게 된 이후 나 자신의 신체 체중과 체지방에 대해 부쩍 신경 쓰게 되었습니다. 체중을 좀 줄이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여태 심각하게 여기지 않다가 이제야 각성하게 되었나 봅니다. 어제는 프로그램 중간평가를 위해 복지관 진료실에 들려 인바디 검사를 다시 받고 아울러 하반기 교육 일정에 관한 얘기를 듣고 돌아왔습니다. 

 

인바디 검사를 받으면서 흥미로운 사실 한 가지를 배웠습니다. 인바디 그래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체중, 골격근량체지방량에 관한 3가지 데이터입니다. 이 3개 수치 그래프 끝 지점을 연결한 모양이 어떤 형태 보이는지에 따라 3가지 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첫째 이상적인 근육형 D형이 있고 다음 표준형 I형, 그리고 셋째 비만형 C형이 있습니다. 나는 아쉽게도 C형 비만형에 속하고 있습니다. 

 

 

 

 

이상적인 근육형은 3가지 그래프가 D형 모습을 보이는 것입니다. 체중은 표준이고 골격근량이 우수하고 체지방량은 표준 정도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우리 몸의 근육은 크게 심장근, 내장근, 골격근으로 구분됩니다. 이 중에서 골격근은 뼈와 뼈 사이, 관절과 뼈 사이의 근육을 의미하며 의식적 움직임이 가능한 근육을 의미합니다.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근육과 체지방의 비율은 건강 체형을 판단하는 기준이 됩니다. 

 

체지방은 세포막을 구성하고 우리 몸이 정상적 생리적 기능 수행을 하는데 필요합니다. 에너지 충격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단열재 역할을 하며 에너지로 사용되므로 건강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만큼의 지방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람이 나이가 들어 가장 눈에 띄는 변화의 하나는 근육량 감소입니다. 근육은 관절을 지탱해주며 관절에 전달되는 무게를 분담해줍니다. 근육량이 줄면 보행이 불안정해지고 다양한 질환 위험성이 증가합니다. 특히 낙상과 골절로 이어져 사망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각별한 관심이 필요합니다. 노인은 장기 중량 감소, 활성 저해 등으로 체지방 축적이 진행되며 팔다리는 가늘어지고 내장지방이 쌓여 거미형 체형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인바디 검사는 체지방률과 내장지방 단면적을 확인해서 비만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내장지방 레벨은 내장지방의 단면적을 레벨로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그중에서 복부에 있는 내장지방을 측정한 것입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내장지방 레벨이 증가하는데 만일 10 레벨이 넘는 경우 각종 생활습관병의 발병률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복부지방률은 허리둘레를 엉덩이 둘레로 나눈 값으로 복부 비만 여부를 판정합니다. 남자는 0.9 이상, 여자는 0.85 이상이면 복부비만이라고 판정하지만 체형에 따라 다르므로 이런 수치가 절대적 기준이라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한편 기초대사량은 생물체가 생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 양을 말합니다. 체온 유지나 호흡, 심장박동 등 기초적 생명활동을 위한 신진대사에 쓰이는 에너지 양으로 기초대사량은 근육량과 비례하기 때문에 근육량이 증가할수록 기초대사량도 증가하게 됩니다.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3가지 요소가 표준 이상이 되면 그래프 형태가 I형을 보일 수 있습니다. 표준형이라고 하지만 체지방량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군것질 조절과 유산소 운동이 도움될 수 있습니다.

 

 

 

 

심각하게 문제의식을 가져야 하는 경우는 3가지 요소 그래프가 C형을 보이는 비만형입니다. 체중, 골격근량과 체지방량 그래프의 끝 지점을 연결하는 모양이 C형을 이루게 된다면 시정이 필요합니다. 근력운동을 통해 골격근량을 높이고 탄수화물 섭취량은 줄이고 유산소 운동을 통해 체지방량 감소에 적극 나서는 C형 탈출 전략이 요구됩니다. 

 

 

 

 

어제 인바디 측정 결과 체중, 골격근량 및 체지방량 분석에서 나는 아쉽게도 C형 비만형 판정을 받았습니다. 비만 분석에서는 BMI가 24.9, PBF는 24.5로 모두 표준 이상이었습니다. ㅠㅠ  그 결과 BMI와 PBF를 XY 축으로 놓고 보면 나는 오른쪽 상단 비만 지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언제부터 그리 되었나 모르겠습니다. 

 

검사자의 체성분 상태를 쉽게 이해하기 위해 인바디에서는 고유의 인바디 점수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인바디 점수가 90점 이상이면 근육이 매우 발달한 강인형이며 80점 이상이면 근육이 많은 건강형, 70점 이상이면 일반적 건강형, 그리고 70점 미만이면 운동과 식이조절이 요구되는 비만형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어제 측정 결과 나는 72점의 인바디 점수를 받았습니다. 간신히 일반적 건강형으로 턱걸이 판정받았습니다만 아마 인바디 기계가 내 복부 상태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가 봅니다. 

 

얼마 전 가성비 좋은 염가의 체지방 체중계를 구입한 이후 수시로 체중과 각 요소별 수치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이날 고가의 인바디 기기로 검사한 측정값과 비교해보니 아래 측정 결과와 같이 1만 원대 체중계도 그런대로 쓸만하다고 생각됩니다. 지난주에 코로나 백신도 1차 맞고 했으니 앞으로 야외활동을 좀 더 많이 하고 식사량을 조절하면서 비만형 탈출 노력을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 지난 글 참조

2021.05.22 - [7학년 이야기] - 가성비 최고의 스마트 디지털 체중계

2021.03.24 - [7학년 이야기] - 스마트 헬스케어 프로그램과 체지방률 (PBF)

 

 

 

'공감''구독'을 꾹 눌러 주세요.

당신의 관심 표명은 글 쓴 사람에게 보람이 됩니다. 

 

 

 

댓글